전체 글103 아기 메타인지 발달: 스스로 배우는 힘 키우는 방법 메타인지란? 아기의 사고력과 학습 능력을 키우는 핵심 요소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자신의 인지를 넘어선 인지'라는 의미를 가진 용어입니다. '메타'는 '어떤 것을 넘어서'라는 뜻입니다. '인지'는 '안다'는 뜻입니다. 즉 자신의 사고과정을 인식하고 조절하는 상위 인지능력을 말합니다. 36개월 이하 아기들도 초기 단계의 메타인지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아기들은 자신이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알아가는 과정을 시작합니다. 서울대학교 아동발달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생후 18개월부터 아기들은 자신의 행동을 모니터링하는 초기 메타인지 능력을 보입니다. 이 시기 아기들은 문제 상황에서 멈추고 다른 방법을 시도하는 행동을 보입니다. 아기가 블록을 쌓다가 무너지면 잠시 생각하고 다른 방식으로 다시 시도하는 .. 2025. 3. 18. 아기의 수리 감각 발달: 숫자 개념 이해는 언제 시작될까? 아기의 숫자 이해, 언제부터 가능할까?36개월 이하 아기는 숫자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예상과 달리 아기의 기본적인 수리 감각은 태어날 때부터 존재합니다. 아기는 생후 몇 주 만에 작은 숫자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개와 세 개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능력은 제한적이며, 숫자를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단계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아기의 수리 감각 발달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부모가 반복적으로 숫자를 말해주고, 간단한 수 개념을 경험하게 하면 점차 이해도가 높아집니다. 특히 12개월 이후에는 숫자와 사물의 관계를 연결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24개월이 지나면 숫자를 세는 행동을 모방하며, 36개월에 가까워지면 1부터 1.. 2025. 3. 17. 미취학 아동 영어 조기교육, 꼭 해야 할까? 효과적인 방법은? 영어 조기교육, 꼭 필요할까?우리나라에서는 영어 조기교육이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습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부터 영어 수업이 진행되는 것은 물론, 영어 유치원과 원어민 과외, 영어 동화책 읽기 등 다양한 방식의 학습이 일찍부터 시작됩니다. 일부 부모들은 아이가 말을 배우기도 전에 영어 노출을 시키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하며, 유창한 영어 실력이 곧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이러한 흐름이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영어는 단순한 외국어가 아니라 글로벌 사회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해외 시장과의 연결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해외 유학이나 글로벌 기업 취업을 목표로 하는 경우 영어 실력은 필수적인 요소가 됩니다. 이렇다 보니 부모.. 2025. 3. 11. 자율성을 키우는 훈련, 아기의 심부름 아기의 자율성, 언제부터 길러야 할까?아기가 스스로 무언가를 해보려는 순간을 마주할 때, 부모는 두 가지 반응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됩니다. "아직 어려서 못 할 거야"라며 대신 해주거나, "한번 시도해 보도록 기다려볼까?"라고 생각하며 지켜봐 주는 것입니다. 이 작은 선택이 아기의 자율성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율성이란 아기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돌 무렵부터 아기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커지고, 혼자서 해보려는 욕구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 부모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자율성이 촉진되기도 하고, 반대로 억제될 수도 있습니다.우선, 아기의 자율성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지 강요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부모.. 2025. 3. 10. 이전 1 2 3 4 5 6 7 8 ··· 26 다음